본문 바로가기

Economy/SERI

아이돌 그룹이 이끄는 新한류시대 요약 : 과거 드라마가 주도했던 한류가 이제 아이돌 그룹이 주도하는 새로운 양상을 보이고 있다. 아이돌 그룹이 주도하는 新한류는 대상이 문화 콘텐츠의 핵심 소비계층인 10~20대 여성으로 확대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新한류는 과거 중화권과 동남아시아에서 이제 구미, 중동, 남미로까지 확산 조짐을 보이고 있으며, 한국에서 인기 형성 후 해외로 전이되는 것이 아니라 전 세계 동시 다발적으로 소비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한국 아이돌 그룹의 성공요인은 크게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다양한 문화를 녹여내는 융합력이다. 즉, 서구음악을 동양적으로 세련되게 소화함으로써 해외에서도 거부감 없이 수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여기에는 현재 한국의 주류 콘텐츠 생산자들 중 상당수가 미국 팝에 대한 음악적 기반.. 더보기
태블릿 PC의 충격과 미디어의 변화 사진 출처 : http://www.mobypicture.com/user/yjchung68/view/7662844 요약 : 새로운 태블릿 PC의 한국 출시가 임박함에 따라 소비자의 기대가 한층 고조되고 있다. 7-10인치 스크린을 손가락으로 터치하며 조작하는 휴대용 PC인 태블릿PC는 기존 모바일 기기와 일부 긴으이 중복되지만, 다양한 미디어 전달 기능이 조합되어 있어 향후 독자적인 수요를 창출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 태블릿 PC의 시장규모는 2011년 120만대, 2012년 300만대 이상으로 성장할 전망이다. 태블릿 PC는 새로운 미디어 분야의 변혁을 가속화시킬 것이다. 먼저 스마트폰이 모바일 인터넷 기기의 가능성을 제시했지만 소형 화면 등의 제약으로 본격적인 모바일 미디어 세상을 여는 데는 한계가 있.. 더보기
고조되는 환율갈등의 배경과 전망 저작권 문제 때문에 링크로 연결합니당~(누르시면 SERI 홈페이지 보고서 창으로 넘어갑니당) 요약 최근 미국과 중국 간의 환율갈등이 첨예화되고 있다. 일본과 브라질, 태국 등도 자국 통화가치의 하락 유도에 가세하여 환율갈등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환율을 둘러싼 갈등은 세계 각국이 경기부양을 위해 경쟁적으로 수출촉진에 나서는 과정에서 촉발되었다. 한국경제는 환율갈등의 여파로 경기둔화와 금융시장의 변동폭 확대가 우려되는 만큼 이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 목차 Ⅰ. 글로벌 환율갈등의 심화 Ⅱ. 환율갈등의 배경과 향후 전망 Ⅲ. 영향 및 시사점 최근 들어 미국과 중국 간의 환율갈등이 첨예화되고 있다. 일본과 브라질,태국 등도 경쟁적으로 자국 통화가치의 하락 유도에 가세함에 따라 환.. 더보기
한-EU FTA와 기업의 대응전략 저작권 문제 때문에 링크로 연결합니다.(누르면 SERI 리포트 위치로 넘어갑니당~) 요약 2010년 10월 6일에 한-EU FTA가 정식 서명된다. 앞으로 한국 국회의 비준과 유럽의회의 비준 절차를 거치게 되면 EU 개별 회원국 의회의 비준이 없더라도 2011년 7월 1일에 잠정 발효될 예정이다. EU는 이미 2005년 對美 제조업 수출을 역전한 이래 한국 제1의 제조업 수출 시장이 되었다. 그런 만큼 한국기업들은 한-EU FTA가 제공하는 수출 기회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 목차 Ⅰ. 한-EU FTA 개요 Ⅱ. 제조업 관련 협정문의 주요 내용 Ⅲ. 기업의 대응전략 (1) 업종별 차별화 대응 (2) 관세인하 효과 극대화 (3) 원산지규정에 대한 대비 (4) 협력을 통한 비관세장벽 극복 (5) EU 비즈니스.. 더보기
2011년 세계경제 및 한국경제 전망 저작권 때문에 링크로 걸겠습니다^^ 보고서 다운 받으러 가기~◀클릭하시면 SERI 홈페이지 보고서 다운 받는 곳으로 넘어갑니다. 아래는 보고서 요약분 일부 입니다. 2010년 상반기까지 한국경제는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나 2010년 하반기 이후 성장속도가 둔화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상반기 중에는 ㅓㄴ년동기대비 7.6%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도 2010년 7월 현재 17개월째 상승세를 타고 있다. 그러나 하반기에 들어서면서 세계경기의 불확실성이 고조되고 있어 그간 높은 성장세를 보였던 수출 및 투자의 성장세 둔화가 불가피한 것으로 보인다. 대내적으로도 위기극복 과정에서 경제회복을 견인해온 정부의 경기부양여력이 약화되고 있다. 하지만 2.. 더보기